암기과목 선생님이 알려주는 암기과목 잘하는 법!

Posted by 시끌벅적사회수업연구소
2019. 11. 17. 09:26 학교생활
반응형

안녕하세요. 시끌벅적 사회수업 연구소 솔이입니다.

 

오늘은 암기과목 선생님 알려주는 암기과목 잘하는 법입니다.

무작정 쓰면서 외우거나 시험 때 이거 알았던건데 하는 친구들은 꼭 끝까지 글을 읽어봐주세요.

영상으로도 만들어봤습니다.

 

암기를 잘 하기 위해서는 일단 사람이 어떻게 뇌를 쓰는지 그림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개체 연결선입니다. 개체 연결선입니다.

사람은 공부할 내용을 머릿 속인 장기기억에 넣고 필요할 때 인출을 하게 됩니다.


 

이 때 공부할 내용을 장기기억으로 넣는데(1) 유용한 팁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내가 공부할 내용의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내가 공부할 내용이 고양이라고 한다면 고양이를 글자로만 외우는 것이 아니라 고양이라는 이미지도 함께 떠올리면서 외우는 것입니다. 이중 부호화 이론에 따르면 고양이라는 대상에 대해서 글자와 이미지로 동시에 알고 있으면 글자로만 알고 있는 것보다 장기기억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고 인출할 가능성 역시 높습니다.


또 다른 예로 이촌향도를 공부해야 하는데 이촌향도라는 것은 농촌을 떠나서 도시로 향하는 것인데 단어의 정의와 이촌향도라는 것을 이미지로 저장하는 것입니다.

 

2. 공부할 내용에 대한 사례를 알고 있다. 이 때 구체적일수록 유용합니다. 구체적인 사례를 들게 된다면 이미 내 장기기억에 있는 기억과 유의미하게 연결이 되어 장기기억으로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서 공부할 내용이 자동차 공장이 많은 도시는 어디지??라고 공부할 때 프로축구팀인 울산 현대라는 구체적인 사례를 떠올리면서 아! 울산에는 현대자동차 공장이 있구나라는 구체적인 사례를 알면 좋습니다. (여기서 추가로 울산현대에서 뛰는 선수인 박주호와 나은이라는 구체적인 사례를 떠올리면 더욱 더 암기하기 쉽습니다.) 또는 프로야구팀인 기아타이거즈를 떠올리면서 아 광주에는 기아자동차 공장이 있구나라고 떠올리면 좋습니다. 이러한 구체적인 사례는 선생님이 수업시간에 이야기해주는 내용을 잘 적어놓으면 좋습니다.

 

3. (why)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이촌향도에 대해서 공부한다면 이촌향도에 개념만 아는게 아니라 왜?? 농촌을 떠나서 도시로 가게 된거지?? 라는 의문을 던진다면 아! 농촌에는 일자리가 부족해서 도시로 갔구나.라고 알 수 있습니다. 다른 예로는 왜 저출산이 된거지??라고 의문을 던지면 아! 요즘에는 결혼하는 연령도 올라가고 아이를 키우는데 경제적인 부담이 많이 들구나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내가 공부하는 내용에 끊임없이 왜?를 던져보세요.

 

4. 단어의 한자 뜻 찾기입니다. 어려운 단어가 등장했다면 단어를 하나하나씩 찾아서 풀어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요즘 인구에서 중요하게 나타내는 지표인 부양비라는 단어가 생소하다면 한자 뜻을 찾아보는 것입니다. 부라는 것은 돕다, 지원하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고 양이라는 것은 기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양이라는 것은 돕거나 지원하여 기르다라는 뜻을 갖고 있는데 즉 젊은 사람들이 어린 아이들이나 노인들을 돕기위한 경제적인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 구조화하는 것입니다. 구조화라는 것은 내가 공부할 내용을 무작정 쓰는 것이 아니라 항목별로 차곡차곡 정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사회시간에 나오는 다국적기업을 구조화 시킨 것입니다. 다국적 기업을 무작정 외우는 것이 아니라 다국적기업의 의미와 입지 전략과 종류로 나눈 뒤 정리를 하는 것입니다.

구조화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내가 외우기 쉬운 형태로, 언어들로 그리면 됩니다. 그림을 이용해도 좋습니다. 다음 예시처럼요.

 

마지막으로 제일 중요한 백지인출입니다.

내가 공부한 내용이 장기기억에 잘 있는지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준비물은 빈 종이 또는 노트와 검은색 펜과 빨간색 펜을 준비해주세요.

오늘 공부한 내용을 아무것도 보지 않고

흰 백지에 검정색으로 기억나는 것을 차곡차곡 써보세요.

아마 이 때 모든 내용이 써지지 않을거에요. 그러면 공부했던 책 또는 정리했던 내용을 옆에 펴놓고 내가 빼먹거나 빠진 부분을 빨간색 펜으로 써보세요.

여러분들이 검정색으로 쓴 부분은 이제 여러분의 장기기억에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빨간색으로 써진 부분은 아직 장기기억으로 들어가지 못한 내용입니다.

 

시험 직전에는 검정색으로 쓴 부분은 이미 여러분에 머릿속에 있는거니까 눈으로 훑는 정도로 지나가고 빨간색으로 된 부분을 집중적으로 외워보세요. 외우는 방법은 위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늘 여러분들에게 알려드린 내용을 요약해보겠습니다.

 

공부할 내용을 장기기억으로 넣기 위해서는

1. 공부할 내용의 이미지를 떠올려라.

2. 공부할 내용에 대한 사례를 떠올려라

3. 공부할 내용에 왜?라는 질문을 던져라

4. 공부할 단어를 모른다면 한자 뜻을 찾아봐라

5. 공부할 내용을 구조화시켜서 정리해라

 

내 머릿속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백지인출을 할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버튼을!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다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반응형